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스키급 잠수함

덤프버전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SS)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쥬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LPH미스트랄급, (이반 로고프급)
LSD이반 그렌급
LST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나티아급, 소냐급, 고르야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룬급R
정보수집함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2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CG: 해안경비대도 운용 중인 함선 ※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괄호): 도입 예정 함선}}}





운용국 둘러보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현대의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 파일:인민군 해군 선수기.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정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C급)
어뢰정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경비정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P-6급, 샨토우급
미사일 고속정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해삼급, 신형 미사일 고속정
초계함사리원급, 트랄급U, 농어급, 신형 대잠 고속정
호위함서호급R,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구축함나진급
상륙정LCM/LCU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LCVP남포급 LCVP
LCPA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소해함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구조함고원급
기타대동-B급 반잠수정, 용도급 연안 고속정, 청진급 공습 어뢰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 윗첨자U: 상태 불명
※ 윗첨자R: 퇴역 함정





파일:폴란드 해군 함수기.png 현대의 폴란드 해군 함정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 해군 (1990~현재)
Marynarka Wojenna
잠수함
SS{오르카 사업} | 오제우(3대/1986) | 소쿠우급(4대/2002)R | 빌크급(2대/1987)R
미사일 고속정 (FACG)
오르칸급(2대/1992) | 헬급R
원양초계함 (OPV)
가브론급
초계함
PC카슈프(3대/1987)
PCG
구르니크급R
호위함
FFG
{미에츠니크급} | 게네라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급
구축함
DDG
바르샤바 3대/1988R
상륙함
LST
폴로시니급R, 루블린급
기뢰전함
소해함
코모란 2급 | 가르드노급 | 맘리급 | 고프워
지원함
급유함 (AOR)
바우티크급
구난함 (ARS)
피아스트급 | 즈비슈코급
소해 지휘함
콘트라드미라우 사웨리 체르니키급
정찰함 (AGOS)
{델핀급} | 나비가토르급
지원정예인정 (YT)
연구함헤벨리우시급
훈련함보드니크급 | 이스크라급(2대/198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파일:whiskey class.jpg
파일:Whiskey Russia.jpg

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613

1. 개요
2. 제원
3. 함생
3.1. 개발
3.2. 운용
4. 사용 국가
5. 사건 사고
5.1. Whiskey on the rocks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위스키급 잠수함(Подводные лодки проекта 613)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운용하였던 잠수함이다.

슈카급 잠수함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건조하는 프로젝트의 이름은 프로젝트 608이다.


2. 제원[편집]


건조 기간1949 ~ 1958년
건조236 척
배수량수상1,055t
수중1,357t
전장76.6m
전폭6.64m
흘수4.55m
최고 속력수상18.2kn
수중13kn
수중(함포 제거)13.6kn
잠항 심도170 ~ 200m
항속 거리수상25,000km
수중11,000km
승조원52 명
음파탐지기능동식Tamir-5
수동식Feniks
측심기NEL-3
전자전 장비지원용나카트 시스템
무장533mm급 어뢰 발사관함수 4문
함미 2문
대잠 병기어뢰 12발 및 기뢰 22발
함포2연장 57mm급 SM-24-3 1문
대공포단열 25mm급 2M-8 1문(1956년형)

3. 함생[편집]



3.1. 개발[편집]


1942년에 소련 해군의 요구에 의하여 개발시작이 되었지만 (당시에는 프로젝트 608) 전쟁, 독일잠수함 노획(1944년에 유보트 7C형을 상대적으로 멀쩡하게 건저내고서 프로젝트 608은 취소후 613 계획을 시작했고 2차대전 종결후 1946년에 유보트 XXI(21)급 을 입수후에 이걸 기초로 다시 설계시작)등의 사유로 1948년에 설계가 끝난 연안 잠수함이다. 위스키급의 기본적인 개념은 독일 해군21형 유보트에서 착안한 것이다.

초기에는 800톤 규모로 개발이 시작했으나 후기에 640 ~ 660톤 규모로 축소된다. 이렇게 축소된 설계안은 작전에 제한이 많아서 군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 못하고 취소후에 613계획으로 넘어가서 최종적으로 613계획 위스키급은 수중 배수량 1,357 톤의 잠수함으로 건조되었다.

3.2. 운용[편집]


서방 진영에서는 함포와 스노클의 유무 등 전반적인 특징에 따라 I~V형까지 구분해 놓았으며, V형이 되어서야 함포가 제거되고 스노클까지 장착되었다. 순항 미사일 발사용으로 개조된 버전도 존재한다.

소련 해군에서 위스키급은 연안 초계임무에 종사하다가 로미오급 잠수함으로 대체되었으며, 적지 않은 수가 북한 해군 등 공산권에 수출되었다.

4. 사용 국가[편집]



4.1. 북한[편집]


북한에는 모두 4척의 위스키급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었다. 하지만 2011년 기준으로 모두 퇴역하거나 스크랩 됐다는 소문이 있다.

5. 사건 사고[편집]


냉전 초기의 첨병인 만큼 역시나 서방 진영과 잦은 충돌이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아래 항목의 좌초 사건.

5.1. Whiskey on the rocks[편집]


위스키급은 대형사고를 친 적이 있다. 1981년 10월, 소련 해군 발트함대 소속인 S-363은 항법실수로 인해 스웨덴 영해 내에서 좌초되었고, 이걸 건지러 온 소련군 태스크포스와 자국의 영해를 지키려는 스웨덴군이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사실 일단 공식적으로는 스웨덴과 소련이 적국이 아니었고[1] 영해 바깥이었다면 단순한 사고로 간주하고 스웨덴군이 예인해서 영해 바깥으로 보낸다면 별일 없었겠지만, 하필 영해 내인데다 잠수함 승조원들이 예인을 위해 스웨덴군이 승선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일이 더욱 커졌다. 열흘 가까이 서로 째려보며 실랑이를 벌인 끝에, 스웨덴 측 예인선이 좌초한 S-363을 끌어내서 스웨덴 영해 밖에 대기하고 있던 소련 함대에 넘겨주는 것으로 사건은 끝.

스웨덴 측은 방사능 검사를 통해 이 배가 핵무기를 싣고 있을 가능성을 의심했다. 물론 당시 소련은 부인했지만 훗날 S-363의 정치장교가 밝힌 바에 따르면 S-363에는 정말로 핵 어뢰가 장착되어 있었고, 스웨덴 측이 배를 탈취하려 들 때에는 자폭을 명령받은 상태였다.(...)

이 사건을 가지고 서방언론에서 뽑은 기사 제목이 위의 Whiskey on the rocks(...). 바위 위에 위스키급이 좌초한 사건 내용과, 위스키를 먹는 방법 중 하나인 위스키 온 더 락(잔에 큰 얼음을 넣고 그 위에 위스키를 부어서 먹는 방식)이란 중의적 의미를 노린 것.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3:39:04에 나무위키 위스키급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공식적'으로는 그렇다는 얘기지 친서방 성향이었던 스웨덴은 러시아를 잠재 적국으로 보고 경계하고 있었다. 이는 러시아도 마찬가지여서 영해 및 영공 침범이 매우 잦았다. 스페츠나츠를 비롯한 소련군 부대가 단골로 삼은 '침투훈련 장소' 중 하나가 스웨덴이었고, 심지어는 스톡홀름왕궁 근처까지 침투했다가 스웨덴군과 교전해서 간신히 탈출한 사건도 있었다.